독서 이야기

[지성에서 영성으로] 지성인 이어령은 왜 신을 믿게 되었을까?

Reading Dad 2024. 11. 17. 07:51

 

[지성에서 영성으로]의 책은 이어령 교수가 적은 것이다. 이전부터 어떻게 똑똑한 지성과 논리를 믿는 사람이 초월적인 신의 존재를 믿게 되었을까? 궁금하던 것이 있었다. 이번에 다른 사람과 이야기를 나누면서 이 부분에 대한 궁금함을 더 가지게 되었고, 책을 통해서 좀 더 지성에서 영성으로 옮겨간 삶의 부분을 살펴보고 싶어 졌다. 

 

이어령 교수는 문학, 철학,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깊이 있는 연구와 통찰력을 보여주며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지성인으로 자리매김하였다. 그는 탁월한 글쓰기 능력과 사회 현상에 대한 날카로운 분석에 많은 사람들에게 영감을 주었고, 특히 한국 문화의 정체성을 탐구하고 미래 사회를 예측하는 통찰력은 독보적이었다. 

 

 

나중에 그는 문학평론가로 출발하여 소설가, 문화 비평가, 문화부 장관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그는 한국 현대문학의 발전에 기여했으며, 특히 민족 문화의 정체성을 탐구하는데 몰두했다. 우상의 파괴라는 논문을 통해 기성 문단에 신선한 충격을 주기도 하였고, 디지털 문명론을 통해 미래 사회의 변화를 예측하며 학계와 사회에 큰 영향을 준 인물이다. 

 

이렇게 평생 지성적인 일에 탐구하며 헌신했던 이어령 교수가 영성에 눈을 돌린 이유는 무엇일까? 그것은 딸의 죽음이라는 큰 슬픔을 겪게 되면서 이다. 그는 딸의 죽음을 통해 삶의 유한성과 인생의 의미에 대해 깊이 고민하게 되었고, 지성적인 탐구만으로는 채울 수 없는 삶의 공허함을 느꼈다. 이러한 경험은 그에게 신앙이라는 새로운 세계를 열어주었고, 지성에서 영성이라는 책을 집필하며 자신의 여정을 솔직하게 밝혔다. 

 

 

이어령 교수가 책에서 지성적인 탐구가 주는 만족감은 일시적이라는 것이다. 궁극적인 행복을 가져다 주지는 못한다는 고백을 한다. 그는 삶의 근원적인 질문들, 즉 나는 누구인가? 왜 사는가? 죽음 후에는 어떻게 되는가? 등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신앙에 의지하게 되었다. 

 

딸의 죽음은 이어령 교수에게 큰 충격이었지만 동시에 신앙을 통해 위로와 치유를 받는 계기가 되었다. 그는 딸의 죽음을 통해 삶의 무상함을 깨닫고, 죽음 이후의 세계에 대한 궁금증을 가지게 되었다. 신앙은 그에게 죽음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하고 영원한 생명에 대한 소망을 갖게 해 주었다. 

 

신앙은 논리적인 증명보다는 믿음을 통해 받아들이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어령 교수 역시 신앙을 논리적으로 완벽하게 설명하기보다는, 자신의 경험과 감정을 통해 신앙의 의미를 설명한다. 그는 신앙이 단순한 지적 탐구 대상이 아니라, 삶의 전체에 대한 믿음이라고 강조한다.

 

 

이어령 교수는 신앙을 통해 삶의 의미를 새롭게 발견하고, 인간의 존재 가치를 더욱 깊이 이해하게 된다. 그는 신앙을 통해 얻은 평화와 기쁨을 다른 사람들과 나누고 싶어 했으며, 지성에서 영성으로라는 책을 통해 자신의 경험을 공유했다. 

 

만약 아직도 지성적이며 논리를 중요시 하며 신의 존재를 부정하는 사람들이라면 한번 읽어보면 도움이 될 것이다. 이어령 교수는 자신의 내면을 솔직하게 드러내며, 지성인에서 신앙인으로 변화해 가는 과정을 생생하게 묘사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는 신앙을 가지면서 겪는 고뇌와 갈등, 그리고 신앙을 통해 얻는 평화와 기쁨을 진솔하게 표현한다. 

 

 

결론적으로 이어령 교수의 지성에서 영성으로의 책은 단순한  종교적 체험기가 아니라, 한 인간이 삶의 근원적인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가는 지적이고 성실한 여정을 담고 있다. 냉철한 이성과 따뜻한 감성을 모두 갖춘 저자의 글은 독자들에게 공감과  함께 인생의 의미를 돌아보게 한다. 

 

만약 당신이 삶의 목적을 잃어버렸거나 지성적인 탐구를 넘어 더 깊은 차원의 행복을 갈망한다면, 이책이 당신에게 새로운 시각을 열어줄 것이다. 물론 신앙은 개인적인 경험이므로 모든 사람에게 동일하게 적용될 수는 없다. 하지만 이 책은 우리 모두가 한 번쯤 던져보는 질문들에 대한 깊이 있는 성찰을 제공하며, 삶을 더욱 풍요롭게 만들어 줄 것이다.

반응형